드래곤 에이지/DAI: Codex

노예들의 비밀 언어

taamro 2022. 5. 28. 12:22

높은 문맹률에도 불구하고, 테빈터의 노예들은 그들만의 작은 상형문자 체계를 발전시켰다. 이들은 이 문자를 벽이나 가구 밑, 그들의 무심한 주인이 발견하지 못할 곳에 새겨두고는 한다. 지역에 따라 많은 변형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해독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한 도시에서는 주먹 쥔 손 그림이 매우 잔인한 주인을 상징하는 것이고, 다른 도시에서는 같은 그림이 가혹하지만, 폭력적인 성정을 가지지는 않는 노예상인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지배층은 노예들의 기분이나 공포심 등에 대체로 무관심하기 때문에, 이 그림으로 된 은어 체계는 그들 사이에서 중요한 소통 수단이 된다. 그렇기에, 어설프게 그려진 문양 때문에 우스꽝스러운 오해가 벌어져 똑똑한 노예들이 참수형을 피하고자 허둥대며 빠져나갈 방법을 모색하는 내용의 테빈터 희극이 많다는 점은 더욱 이상하게 느껴진다. 어쩌면 테빈터의 상류층들은 그네들의 소유물이 오직 창작물 속에서만 인간성이나 지성을 가질 수 있다고 확신하면서 위안을 느끼는지도 모른다.

—리베인의 베샤의 강습록에서 발췌

 

더보기

The Secret Tongue of Slaves

 

Despite widespread illiteracy, Tevinter's slaves have developed a series of small pictograms that they scrawl on walls or under furniture, hidden from their uncaring owners. Regional variations make deciphering them a unique challenge. In one city, the sign of a clenched fist means a murderous master. In another, the same symbol indicates a harsh slave owner but not one with a fatal temper.

 

The ruling class's general indifference to the moods and fears of their slaves make this pictorial argot an important method of communication. It is therefore all the more strange so many Tevinter comedies center around farcical misunderstanding of a sloppily written sigil, where witty slaves scramble to subvert blame in time to avoid beheading. Perhaps it comforts Tevinter's well-to-do to believe that their property is only this clever—and human—in fiction.

 

—From a lesson book by Besha of Rivain

 

'드래곤 에이지 > DAI: Cod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법사  (0) 2022.05.28
할람시랄로 가는 여정  (0) 2022.05.28
안드루일의 전령  (0) 2022.05.28
반란의 신  (0) 2022.03.16
마도기사의 길  (0) 2022.03.16